0.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새벽단호박입니다!
오늘은 RSI 보조지표의 제 3편, 심화편을 포스팅하겠습니다.
심화편에는 1) RSI Divergence (rsi 다이버전스) 2) RSI signal의 활용법 및 수식 3) 과거 자료를 바탕으로한 백테스팅 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등장하는 RSI 의 기본 수식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수 있습니다. 그럼 시작!
1) 정의 & 수식(영웅문) : dawnpkin.tistory.com/17
RSI 보조지표 1편. RSI의 정의 & 수식(영웅문)
0.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새벽단호박입니다! 어제 오늘 매매일지와 관심종목 업로드가 없었습니다.... 이놈의 RSI 지표를 연구하다 보니 이틀 매매를 못했네요 ㅠ 그리고 오늘 소기의 성과를 이루
dawnpkin.tistory.com
2) RSI 이동평균선 (Signal) : dawnpkin.tistory.com/18
RSI 보조지표 2편. RSI 이동평균선 (RSI Signal)
0.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새벽단호박입니다! RSI 3부작의 두번째 포스팅입니다. 오늘은 RSI 지표의 이동평균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혹시 앞선 RSI기초가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에서! 1) 정의 &
dawnpkin.tistory.com
3) 심화 & 백테스팅
1. RSI Divergence (RSI 다이버전스) 란?
우선 다이버전스 (Divergence) 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다이버전스란 고점과 고점 or 저점과 저점을 연결하여 특정 지표의 추세를 예측하는 하나의 기법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참고 : tailong.tistory.com/9
RSI를 활용한 다이버전스 매매는 어떻게 할까?
손익비가 좋고 변곡을 잡아내기 좋은 RSI 다이버전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대강도지수(RSI)는 현재의 시장 상황이 과매수된 상태인지 과매도된 상태인지, 또는 그 중간에 있는지를
tailong.tistory.com
그 종류와 효과에 대해서 잘 정리해 놓으신 블로그가 있어 이렇게 포스팅을 땡겨왔다.
정말 세상에는 대단한 분들이 많으시다... 일단 링크를 복붙하고 댓글로 후 보고조치하겠다...
위 글에서 알 수 있듯 다이버전스는 수많은 종류가 있다. 그 중에 내가 주목한 것은 저점과 저점을 있는 RSI 저점 다이버전스 이다.
특히 RSI 저점 상승 다이버전스가 이후 상승에 큰 영향을 준다고 판단하여 이에 대한 수식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그 수식을 공유함!
(키움증권 기준 수식이므로 타 증권사는 댓글을 남겨주시기 바람. 유안타나 티레이더도 테스팅용으로 쓰기 땜에 뚝딱 만들수 있읍니다)
2. RSI 저점 상승 다이버전스의 수식 (RSI Divergence 수식)
우선 수식을 적용한 결과를 보면서 설명하겠습니다.
본 수식은 '저점' 'RSI' '상승' 다이버전스이므로 이 세가지 조건을 충족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RSI 신호의' '상승반전 꼭지점이' '그 직전 상승반전 꼭지점보다 상승했을때' 의 수식을 만들어야합니다.
그리고 그 세 가지 신호를 결합해 '신호'의 형태로 만들어 놓으면 사용이 용이하죠.
이렇게 보면 좀 편하네요.
RSI 다이버전스 (빨간색 화살표) 가 있는 곳을 주황색 / 나머지 구간을 연보라색으로 칠해봤습니다.
신호가 발생한 모든구간이 상승한 것은 아니지만, 드라마틱한 상승 이전에는 신호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수식을 공유하겠습니다.
짜잔~!
R=RSI(14) ;
crossup
(VALUEWHEN(1,(R(1)<=R(2) AND R(1)<=R) AND ! (R(1)==R(2)==R),R(1)) , VALUEWHEN(2,(R(1)<=R(2) AND R(1)<=R) AND ! (R(1)==R(2)==R),R(1)))
|
이하는 설명입니다. 수식의 원리를 아셔야 추가적으로 활용이 가능하겠죠?
1) 'RSI 신호의'
R=RSI(14) ;
우리는 0봉전, 1봉전의 rsi도 알아야하는데, 저렇게 RSI를 간단한 문자로 정의하면 앞으로 'R(1) = 1봉전 rsi(14)' 처럼 짧고 쉽게 값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볍게 정의를 하고 들어갑니다잉
2) '상승반전 꼭지점이'
VALUEWHEN(1,(R(1)<=R(2) AND R(1)<=R) AND ! (R(1)==R(2)==R),R(1))
수식이 좀 난잡합니다. 독학으로 만들다보니 허허....
우선 valuewhen(n, 조건, 값)은 '조건'을 만족한 'n번째 값'을 출력하는 수식입니다.
따라서 위 수식은 어제의 rsi (R(1)) 이 오늘보다 작고, 이틀전보다도 작은 상태 즉 V자를 그리는 상태를 만족하는 1번째 값, 즉 가장 가까운 값을 표현하라는 뜻입니다.
보이시나요? 파란색이 valuewhen(1.....) 이고 분홍색이 valuewhen(2....)입니다.
오른쪽에 주황색 부분을 보시면, 직전에 상승반적 꼭지점의 값(파란색)이 두번째 상승반전 꼭지점(분홍색)의 값을 뚫고 올라갔죠?
요러면 이제 다이버전스가 발생했다... 라는 거죠.
아 내가 쓰고도 뭔소린지 모르겠네 ㅋㅋㅋㅋㅋㅋㅋㅋ 그런 여러분을 위해 걍 복붙하시도록 다 열어두었으니 복붙을 해가십셔!
(혹시 제가 잘 몰라서 안열려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댓글로 남겨라도 드리겠습네다)
3) '그 직전 상승반전 꼭지점보다 상승했을때'
crossup
이젠 그 위에서 보다시피 valuewhen(1)이 (2)를 뚫기만 하면 되는것입니다.
참 쉽구만?
3. 실전에서의 투입 / 활용 tip
그럼 과연 실전에서는 어떤가?
저야 이런걸 보는게 취미이니 여러개의 신호 중에서 다소 의미 있는 몇개를 뽑을 수 있겠지만 처음 보는 분들은 또 힌트를 찾기 힘들수도 있으니.
힌트를 드리자면 우선 특정 기준선을 돌파하느냐 마느냐가 무척 중요합니다.
이렇게 선을 하나 더 그었는데 어떠세요, 뭔가 보이시나요?
홀홀 보이시는 분이 많으면 좋겠네요.
4. 마치며
결국 주식은 세력과의 경합이거나 확률과의 싸움이니까요. 이런 지표로 확률을 높여보면 좋겠네요
궁금한건 언제나 환영입니다.
그럼 갑자기 일이 생겨서 뭔가 좀 용두사미로 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