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순간들입니다. 그 순간들의 특징을 간략히 표로 정리후, 세가지 포인트를 짚어보겠습니다.
RSi signal
해당 시점의 RSI
1봉 후 RSI
저점 다이버전스
결과
1ST
감소
50이하
50 이상
횡보 후 상승
횡보 후 상승
2nd
감소
50이하
50 이상
상승
횡보 후 상승
3rd
감소
50이하
50 이하
하락
하락
1) 왜 RSI 50선이 기준인가?
RSI 란 상대강도지수는 쉽게 설명할 때 70이 넘으면 '과'매수, 30이하면 '과'매도라고 표현합니다. 이 말은 즉, 50~70은 '적정 매수'이고 30~50은 '적정매도'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50이라는 값은 상징적으로 '상승하락 기준선'이 됩니다.
또한 RSI Signal(20)은 그 매수세와 매도세의 20일 평균이죠. 따라서 이 평균세가 '감소'한다는 뜻은 전체적으로 매수세가 약해지고 있다는걸 의미합니다. 특히 이 평균 추세가 50이하로 내려가면서 감소하고있다는 뜻은 중장기적으로 매도에가 강해지면서 가격이 하락할 확률이 높다는 뜻일거니다.
따라서 "RSI 가 50이하" 이고 "RSI Signal(20) 감소" 순간이 가격하락의 신호가 되는 순간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세 순간 모두 여기에 해당하니 '하락 신호'라고 볼 수 있는 순간입니다.
2) 왜 1봉 후 RSI를 보는가
RSI 신호는 결국 종가에 영향을 받는 신호이고, 가격은 순간적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한순간은 말이죠. 그러나 이것이 '연속'된다면 '추세'로 이어질 확률이 높기 때문에, RSI 감소가 연속되는지. 그리고 반등했을때 다시 상승하락 기준선인 50을 넘는지를 주요하게 보는 것입니다.
여기서 3rd 만의 차이점 나타납니다. 세 시점 모두 RSI가 50 밑으로 떨어진 순간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1st 와 2nd는 rsi 50선 하향돌파 직후 다시 즉시 반등하였고, 이후 50선을 상승돌파하였습니다. 그러나 3rd는 50선 하향돌파 이후 연이어 하락세를 이어가죠.
즉, RSI 신호에서 3rd는 하락의 신호를 이전보다 강하게 보이고 있었던 것입니다.
3) 저점 다이버전스는 또 뭔가?
앞선 두 신호가 중첩됬다면, 안전성을 위해서라면 빠르게 익절각을 볼 타이밍입니다. 그러나 좀더 공격적으로 '기다려보겠다'라고 생각한다면, 저점다이버전스가 마지막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저점 다이버전스란, 상승반전하는 꼭지점 두개를 이어서 만들어지는 모습을 말하는 것입니다
선으로 이어보면 이렇게 나타나 지겠네요.
1st는 그 순간의 저점과 그 다음 순간의 저점이 같고, 이후에는 저점이 상승하는 '상승' 저점 다이버전스를 보이고 있습니다
2nd도 그 순간의 저점에 비해 직후 저점이 상승하는 '상승' 저점 다이버전스를 보이고 있죠.
반면 3rd는 이어지는 세게의 꼭지점에서 모두 하락하는 '하락' 저점 다이버전스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하락 다이버전스가 연이어 발생한다면, 이것은 추가적인 하락의 신호로서 즉시 탈출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