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 단호박이, 먹고싶어

0. 들어가며 (스킵하세용!)

 

안녕하세요 새벽단호박입니다.

 

주식에서 차트를 볼 때면 항상 중요한것이 '이평선' 이죠.... 저도 대부분 이평선을 이용해 매매를 합니다.

 

거기에 저같은 단타맨은 일봉과 분봉의 이평선을 모두 신경써야합니다.

 

하지만 '키움증권'에는 공개적으로 이 방법을 지원하지 않아요 ㅠㅠ 정말 고민고민하던중에 수식관리자를 통해 이를 만들수 있음을 알았습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사용하시는 '직선형'과 백테스팅에 사용하는 '반응형'을 만들었습니다!

 

1. 수식관리자에 함수 만들기

 (0) 재료 준비

이동평균선을 만들려면 

 

npredayclose() 

 

라는 함수를 사용해야합니다. 설명하자면

 

npredayclose      (n)

= n봉전의 종가   (n)

 

입니다.

 

그러니 만일 5일 주가이동평균선을 만들려면

 

('당일종가'+npredayclose(1)+npredayclose(2)+npredayclose(3)+npredayclose(4))/5

 

를 해주면 됩니다!

 

이때 5일 평균인데 왜 4봉전까지...? 라고 저는 한참고민했습니다.

하지만 주식 차트에서는 '당일봉=0봉' 이고,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이동평균은 당일값을 포함한 n일치의 평균이기 때문에 0 1 2 3 4 가 더해지는것이 맞습니다.

 

문제는 이걸 일일이 치는게 너무 귀찮으므로

 

2~5일치 : npredayclose(1)+npredayclose(2)+npredayclose(3)+npredayclose(4)

6~10일치 : npredayclose(5)+npredayclose(6)+npredayclose(7)+npredayclose(8)+npredayclose(9)

11~20일치 : npredayclose(10)+npredayclose(11)+npredayclose(12)+npredayclose(13)+npredayclose(14)+npredayclose(15)+npredayclose(16)+npredayclose(17)+npredayclose(18)+npredayclose(19)

 

를 첨부하니 여러분은 복사붙여넣기 해서 쓰세용

 

 (1) 직선형 이동평균 표시하기 (dayclose() 함수 사용)

다왔습니다! 우선 직선형 이평선부터 만들어 보겠습니다.

 

위에서 저희는 1봉전 ~ n봉전 까지의 값을 '종가'로 구해놨으니 이제 오늘의 종가만 구하면 짜잔. 완성입니다.

 

이때 종가를 표시하는 함수를 무엇으로 하는지에 따라서 직선형과 반응형이 달라집니다.

 

직선형에는

 

dayclose()

 

를 사용합니다.

 

dayclose는 '일봉상 현재의 종가값'을 나타내는 함수이고, 위처럼 최종 종가와 앞선 종가들의 합을 직선으로 만들어 표시해 줍니다.

 

실제 단타 중에는 이게 실시간으로 변하니까 따로 반응형을 만들 필요가 없긴 합니다 ㅎㅎ.....

 

 

 (2) 반응형 이동평균 표시하기 ('종가' 함수 사용)

다음은 백테스팅용 반응형 일봉 주가이평선입니다! 두둥

 

위의 직선형과 다르게 실시간 변화를 기록하고 볼 수 있습니다. 

 

이때 사용되는 함수는

 

종가

 

입니다.

 

엥? 뭔소리여? 하는 의문이 드실겝니다...만!

 

 

진짜로 이렇게 쓰면 됩니다.

 

키움증권에는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함수들이 있는데, '종가'도 이중 하나입니다.

 

dayclose() 와 '종가' 가 다른점은

 

dayclose()는 일봉 종가만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현재의 최종 일봉종가가 이전 시간에도 반영됩니다!

   (즉, '당일 일봉 종가'+'1봉전 종가'+'2봉전 종가'..... 가 분봉차트 전체에 표시)

 

'종가'는 분봉차트에서의 종가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일봉차트에 저 지표를 대입하면 일봉종가가 표시됩니다)

   (즉, '09:05 의 종가'+'1봉전 종가'+'2봉전 종가'..... 가 '09:05'에 표시

        '15:05 의 종가'+'1봉전 종가'+'2봉전 종가'..... 가 '15:05'에 표시)

 

여튼! 원리가 중요한게 아니라 결과가 과거의 실시간 변화를 확인할수 있도록 나와줍니다!

 

 

(3) 검토

      

너무 많으면 어지러우니 3/5일 이평선만 확인!

 

보시다시피 직선형은 오늘 최종종가만 반영하고

반응형은 실시간 분봉종가를 반영하여 변화하다가 당일 최종종가에 도달해서 직선형과 똑같은 값으로 마무리 됩니다.

 

굳!!!!!

 

 

2. 꿀팁s

 

이평선을 표시하고나서 활용하는 꿀팁들입니닷

 

1) 직선형은 실시간 단타에 활용 (반응형은 어지러우니까!)

   반응형은 백테스팅에 활용한다.

 

2) 다 만들었는데 3분봉만 나오고 5분봉이 표시가 안되요!!!

     >>>>

종합차트 위에 있는 '연속조회'를 연타연타하자. 

보이지 않는 당신. 아마 기본값인 [ ] / 600 으로 되어있을것! 연속조희를 연타한 본인은 [ ] / 9000이다 음하하

 

 3) 호박놈아! 왜 차트에 표시가 안되고 아래에 따로 표시가 되냐...? 이거 이상한데?

이렇게 나타나시는 당신! 

요렇게 뜨는 팝업에서 위와같이 선택 후 확인 누르시면 되겠다!

 

 

 

3. 마무리하면서

사실 얼마전 '전환사채' 포스팅을 누르시는 분들을 보고 신기해서 부랴부랴 써봤습니다.

그... 별건 없지만 저는 이걸 알아내는데 꽤 오래걸렸습니다...

수식관리자가 뭔지도 모르고 입문했었거든요. 

 

그치만 이글을 보는 여러분들! 분봉에 펼쳐지는 이평선을 보고 신세계를 느끼시기를!

 

댓글로 질문과 호박욕 모두 친절히 답변드리겠습니다! 그럼 20,000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